블로그스팟 사용 팁

  블로그스팟(Blogger) 애드센스 수익화를 위한 단계별 준비 가이드 안녕하세요! 티스토리에 이어 블로그스팟, 나아가 워드프레스까지 확장하시려는 계획과 함께 애드센스 수익화라는 명확한 목표를 가지고 체계적으로 준비하시려는 모습이 정말 멋지십니다. 초보라고 하셨지만, 구체적인 계획과 학습 의지가 있으셔서 잘 해내실 수 있을 겁니다. 현재 상황(티스토리 운영 경험, AI 활용 콘텐츠 제작, 개인 도메인 사용 경험 등)을 고려하여 블로그스팟을 애드센스 수익화 목적으로 설정하고 운영하기 위한 단계별 가이드를 자세히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목표: 구글 블로그스팟(Blogger)을 개인 도메인으로 연결하고, 애드센스 승인을 받아 티스토리와 함께 안정적인 수익 파이프라인으로 구축하기 [1단계: 블로그스팟 기본 설정 및 사전 준비] 블로그 생성 및 기본 정보 설정: 블로그 선택/생성: 기존에 만드신 "애드센스승인"이라는 블로그를 사용하시거나, 새로운 주제와 방향에 맞는 이름으로 블로그를 신규 생성합니다. (예: 내블로그주제.blogspot.com ) 블로그 제목 및 설명: 블로그의 주제를 명확히 나타내는 제목과 설명을 작성합니다. 이는 검색엔진 최적화(SEO)의 기본입니다. 언어 및 시간대 설정: 한국어 콘텐츠 기반이므로 언어 설정을 한국어로, 시간대도 서울로 설정합니다. 테마 선택 및 디자인: 가독성 좋은 테마: 블로그스팟에서 제공하는 기본 테마 중 깔끔하고 가독성이 좋으며, 모바일 반응형을 지원하는 테마를 선택합니다. (애드센스 광고 배치에도 용이한 구조가 좋습니다.) 심플한 디자인: 너무 화려하거나 복잡한 디자인보다는 콘텐츠에 집중할 수 있는 심플한 디자인을 추천합니다. 로딩 속도도 중요합니다. 필수 페이지 생성 (애드센스 승인에 중요): 개인정보처리방침 (Privacy Policy):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내용을 담은 페이지를 반드시 생성해야 합니다. (인터넷에서 '개인정보처리방침 샘플...

논문컨설팅 라온페이퍼 SCI급 학술지 선정방법

이미지
SCI 학술지 선정을 위한  체크리스트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하기 위한 출발점은 학술지 선정입니다 . 대체 학술지 선정은 어떻게 하면 될까요 ? 논문 쓰는 과정도 힘든데 학술지 선정까지 어렵다면 정말 힘이 빠지겠지요 . 그래서 시간낭비를 줄이기 위해 논문을 투고할 학술지를 결정하는 과정은 전략적이어야 합니다 . 연구주제에 가장 적합한 학술지를 선정하는 일은 쉽지 않아 보이죠 . 그러나 몇 가지 질문에 정확하게 답해 나간다면 의외로 수월하게 좋은 해답을 얻을 수 있습니다 . 간단한 몇 가지 질문에 답함으로써 여러분 연구의 초점을 좁힐 수 있고 게재불가의 심사결과가 나오는 이유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다음의 체크리스트 질문지에 답하는 동안 당신의 논문주제에 맞는 학술지 선택의 범위가 정해질 수 있습니다 : •     - 논문이 종합학술지에 실리기를 원하는가 ? 넓은 독자층이 접할 수 있는 학술지인가 ? •            -논문을 전문학술지에 게재하는 것이 내 연구에 관심 있는 독자층을 찾는 데 더 효과적일까-      - 국제학술지에 게재하기를 원하는가 ?       - 연구분야에 특화된 학술지에 게재하고 싶은가 ?       - 파급효과 (impact factor) 가 높은 학술지에 게재하고 싶은가 ?       - 내 연구분야에 한정된 독자층을 가진 학술지에 더 관심이 있는가 ?      - 그 학술지의 투고 절차는 어떠한가 ?       - 내 논문이 open access 로 게재되기를 원하는가 ? 아니면 구독형 학술지를 원하는가 ?      ...

sci급 학술지 종류와 특징의 이해

이미지
■ SCI 급 학술지 종류와 특징 SCI 급 학술지로 불리는 외국 학술지의 인용색인 (citation index) 은 다음과 같습니다 . ○ SCI (Science Citation Index) : 3800 여 종의 저널 ○ SCIE (Science Citation Index Extended) : 8700 여 종의 저널 ○ SSCI (Social Science Citation Index) ○ A&HCI (Arts and Humanities Citation Index) ○ SCOPUS ⇒ SCI 는 1960 년 미국 ISI 에서 만든 것으로 현재는 Thomson Scientific 이 운영하고 있습니다 . ⇒ SCIE 는 SCI 의 확장판으로 온라인 버전의 SCI 학술지입니다 . ⇒ SCI 와 SCIE 는 모두 과학기술 분야 주제를 다루며 주로 영어로 작성합니다 . ⇒ SCI 와 SCIE 의 차이점은 배포 형태 . SCI 가 주로 인쇄본이나 CD-ROM 형태로 배포되는 반 면 , SCIE 는 웹사이트에 업로드되어 온라인으로 배포되는 점이 다릅니다 . ⇒ SCI 는 Impact Factor 가 비교적 높기 때문에 SCIE 보다 더 수준이 높다는 인식이 있습니다 . 실제로 등재비율은 전세계적으로 지역 안배를 하기 때문에 세계적 수준의 저널이 아니어도 지역적 영향력이 있으면 SCI 저널 등재가 가능하므로 SCI 가 SCIE 보다 반드시 우수한 저널인 것은 아닙니다 . ⇒ SCIE 는 SCI 학술지를 모두 포함하게 됩니다 . ⇒ 배포형태의 특성상 SCIE 가 SCI 보다 업데이트가 빠르다 ( 일주일 단위 ) 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같은 논문이라도 SCIE 학술지에 게재할 경우 피인용 횟수가 높아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 ⇒ A&HCI 는 인문학과 예술분야 우수논문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 ⇒ SCOPUS 는 비영어권 국가들의 ...